해외여행갤러리
광고
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
청약 종합저축에서 청년드림 청약통장? 제가 기존 400만원 정도 있던 청약 통장에 한 1-2년 정도

제가 기존 400만원 정도 있던 청약 통장에 한 1-2년 정도 돈을 안 넣고 있다가 이번에 한번에 넣으려고 은행을 갔습니다. 횟수로 나눠서 한번에 넣을 수 있다고 하셔서 봤더니 저는 최대 12회차까지 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.저는 공공/ 민간 이런 거 찾아보지도 않고 그냥 파킹 통장에 넣어놨던 돈 500만원 정도 넣으려고 간거라 12회차로 나눴더니 41만원씩 나눠서 들어가더라구요. 근데 생각해보니까 한 회차 납입 당 25만원씩만 인정이 될텐데 은행원 분도 이거에 대해 아무 말씀이 없으셔서 그냥 넣었습니다. 뒤늦게 찾아보니까 한번 넣으면 쭉 묶이는 통장에 20대 초년생인데 굳이 이렇게까지 목돈을 쏟아서 넣었나 싶기도 하고, 그냥 예금 들었다 생각하면 괜찮은 것 같기도 하고..사실 공공주택, 민간주택 목표로 하고 있는 집은 없고 그냥 꾸준히 많이 넣기만 하면 좋을 줄 알고 넣은거라 너무 성급했나 싶기도 해서요. 그래도 유지하려면 월 2만원씩이라도 넣는 게 나을까요? 혹은 25만원씩 넣어서 공공을 노려보는 것도 괜찮을까요? 아니면 일단 이대로 냅두는 게 좋을까요? 나이는 20대 중반에 가입기간은 부모님이 예전에 만들어주신거라 10년 정도 됐고, 1000만원 정도 있습니다.그리고 지금 쓰고 있는 청약은 그냥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인데, 금리 더 높은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는 게 좋을까요?

질문자님, 정말 대단하세요.

20대 중반의 나이에 청약에 대해 이렇게 진지하게 고민하고, 직접 은행에 방문해서 납입까지 해보셨다니…!

**‘성급했다’**는 생각이 드실 수 있지만, 그만큼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는 증거니까 절대 헛된 일은 아니에요.

이제부터 어떻게 유지할지, 그리고 청약통장 활용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.

✅ 1. 한 번에 500만 원 넣은 건 잘못일까요?

절대 잘못 아닙니다! 다만, "청약 가점"에 영향을 주는 방식은 따로 있다는 점을 아시면 좋아요.

  1. 청약 가점에 유리한 방식은?

  2. 월 10만~25만 원씩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중요해요.

  3. "횟수(납입 인정 회차)"가 핵심이에요. 즉, 10년 동안 25만 원씩 120번 냈다면 120회 인정이 되는 거예요.

  4. 한 번에 많이 넣으면?

  5. 납입금액은 올라가지만, 회차는 올라가지 않아요.

  6. → 이번에 500만 원을 41만 원씩 12회 나눠넣은 건 **‘납입인정 횟수 12회’**만 반영됩니다.

  7. → 이건 공공분양 가점제에서 중요한 항목이에요.

✅ 2. 이제 어떻게 유지하는 게 좋을까요?

지금 질문자님 상황(가입기간 10년, 잔액 1천만 원, 20대 중반)을 고려하면 아래처럼 선택할 수 있어요.

공공분양을 목표로 한다면?

  • 매달 25만 원씩 납입 유지하세요.

  • **납입인정 횟수 최대 150회(=12년 6개월)**까지 가능해요.

  • 이미 가입기간이 길고, 납입금도 많으니 가점형 청약을 고려할 수 있어요.

  • 3~4년 후 내 집 마련할 계획이 생긴다면, 큰 무기가 되어줄 수 있어요.

아직 내 집 계획이 없고, 자금이 묶이는 게 아쉽다면?

  • 납입 중지해도 청약통장은 살아있습니다.

  • 필요할 때 다시 넣을 수 있어요. 하지만 납입회차가 안 쌓이는 점은 아쉬워요.

  • 이 경우, 그냥 정기적금이나 파킹통장으로 돌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.

✅ 3.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하는 게 좋을까요?

가능하다면 전환 고려해볼 만해요!

  •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또는 청년주택드림 통장금리 우대 +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.

  • 단, 가입 조건(연령, 소득 등)을 충족해야 하고, 이미 기존 통장이 있다면 전환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해요.